본문 바로가기

기타

안전보건교육(2분기-사무및판매근로자-제조업)

100점^^

 

시험

시험 응시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구분 정답 오답 점수계
객관식 2문항 2 개 0 개 40 점
OX 3문항 3 개 0 개 60 점
5 개 0 개 100 점

O 문제 1O 문제 2O 문제 3O 문제 4O 문제 5

1. 요양급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보기
  • 1. 요양급여 지급조건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0조에 따르면 재해근로자의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이 7일 이상의 요양을 요해야 한다.
  • 2. 진료 외 치료를 위한 투약 기간도 요양기간으로 볼 수 있다.
  • 3. 최초 진단이 2주인 재해자가 3일만 치료를 받고 나머지 기간은 자택에서 자가 치료한 경우에도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다.
  • 4. 요양급여 소멸시효는 3년이고 지급방법은 현물급여 지급이 원칙이다.
정답 1
수강생 답 1
취득점수 / 배점 20점 / 20점
해설 요양급여 지급조건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0조에 따르면 재해근로자의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이 4일 이상의 요양을 요해야 합니다.
2. 요양 중 지급되는 산재보험급여는 요양급여와 휴업급여, 장해급여이다.
정답 X
수강생 답 X
취득점수 / 배점 20점 / 20점
해설 요양 중 지급되는 산재보험급여는 요양급여와 휴업급여 두 가지입니다. 요양기간이 2년을 경과하고 중증요양상태등급(1급~3급)에 해당하는 경우 휴업급여 대신 상병보상연금을 지급합니다.
3.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(KOSHA)의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예방 지침(KOSHA GUIDE H-34-2011)에서는 감정노동을 ‘직업상 고객을 대할 때 자신의 감정이 좋거나, 슬프거나, 화나는 상황이 있더라도 사업장(회사)에서 요구하는 감정과 표현을 고객에게 보여주는 등 고객 응대 업무를 하는 노동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.
정답 O
수강생 답 O
취득점수 / 배점 20점 / 20점
해설 힌국산업안전보건공단(KOSHA)의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예방 지침(KOSHA GUIDE H-34-2011)에서는 감정노동을 ‘직업상 고객을 대할 때 자신의 감정이 좋거나, 슬프거나, 화나는 상황이 있더라도 사업장(회사)에서 요구하는 감정과 표현을 고객에게 보여주는 등 고객 응대 업무를 하는 노동’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.
4. 감정노동 관리방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?
보기
  • 1. 감정노동이 업무의 일부이고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이라는 것을 인정하고,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마련한다.
  • 2. 고객에게 무조건 친절히 응대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적정 서비스 기준을 제시하고 악성 고객 관리 규정 및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 근로자에게 교육한다.
  • 3. 근로자가 적정 수의 고객에게 응대할 수 있도록 적정 인원의 근로자를 확보하고 감정노동 수행 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휴식 공간 및 휴식 시간을 제공한다.
  • 4. 고객과의 갈등이나 분쟁 발생 시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어 근로자가 고객에게 친절하게 대하도록 교육시킨다.
정답 4
수강생 답 4
취득점수 / 배점 20점 / 20점
해설 고객과의 갈등이나 분쟁 발생 시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는 문화를 조성하고 근로자 교육도 일방적인 친절 교육이 아니라, 감정노동에 대해 이해하고 관리하는 방안에 대한 교육을 실시합니다.
5. 업종에 따라 안전문화는 차이가 나지 않는다.
정답 X
수강생 답 X
취득점수 / 배점 20점 / 20점
해설 업종에 따른 안전문화는 매우 상이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제조업의 경우 직원들의 교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인 행동 관찰과 피드백 제공의 절차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건설업의 경우 공기에 따라 작업자가 달라지며, 원청, 하청, 파견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.